일·육아 둘 다 잡는 법, 2025 아이돌봄서비스 실전 활용법

2025. 5. 10. 14:25필독 정보

1. 아이돌봄서비스란?

아이돌봄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을 둔 가정에서
돌봄이 필요한 시간에 아이돌보미가 직접 방문하여 돌봐주는 정부지원 서비스입니다.

“등·하원, 병원 동행, 급식 지원까지 아이 곁에 누군가 있어야 할 때, 정부가 도와드립니다.”


2. 2025년 기준 지원 대상

기본 조건

  • 12세 이하 아동을 둔 가정
  • 맞벌이, 한부모, 장애부모, 조손가정
  • 소득 수준 무관, 다만 요금 지원은 소득 기준 차등

우선순위 가구 예시

  • 취업 또는 구직 중인 부모
  • 아이돌봄 공백이 있는 특수 상황
  • 장애, 질병, 입원, 육아휴직 중인 보호자

3. 서비스 종류

시간제 돌봄 시간 단위로 돌보미가 방문하여 일시적으로 돌봄 제공
종일제 돌봄 정기적이고 장시간(1일 6시간 이상) 돌봄이 필요한 경우
영아종일제 만 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한 전문 돌봄 서비스
질병감염아동지원형 감기, 수두 등 전염성 질환 아동에 대한 가정 내 돌봄

4. 2025년 요금 체계

유형 기본 요금(시간당) 정부지원(소득기준별)
시간제 12,000원 최대 85% 지원 가능
종일제 1일 72,000원 이상 0~85% 지원 (가구 유형별 차등)
 
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금 거의 없음
✅ 맞벌이·중산층 가정도 소득 기준 따라 일부 지원 가능


5. 이용 방법

정부 아이돌봄서비스 포털 가입 및 신청
아이돌봄서비스 공식 홈페이지

읍·면·동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상담 후 신청서 제출

서비스 이용자 등록 → 아이돌보미 매칭 → 이용 시작

✅ 긴급 돌봄 필요 시, 단기 신청도 가능
모바일 앱으로 일정 관리, 연장 신청, 평가도 가능


6. 서비스 내용 예시

  • 어린이집·유치원 등·하원 동행
  • 이유식·간식 챙기기
  • 병원 진료 동행
  • 실내 놀이, 독서 활동, 안전 관리
  • 아동 감염 질환 중 가정 내 돌봄(질병감염형)

7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할머니가 돌봐줘도 신청 가능한가요?
→ ❌ 돌봄 제공자는 공식 교육을 이수한 아이돌보미만 가능

Q2. 저소득층만 신청할 수 있나요?
→ ❌ 소득 관계없이 모두 가능, 단 정부지원 비율만 차이 남

Q3. 몇 명까지 돌봐줄 수 있나요?
→ 기본 1가정 1자녀 기준이며, 추가 아동 시 시간·요금 증가


📌 요약 정리

유형 시간제 / 종일제 / 영아전담 / 질병형 등
요금 시간당 12,000원 / 소득별 최대 85% 정부지원
이용 방법 idolbom.go.kr 온라인 신청 or 주민센터 접수
지원 대상 맞벌이·한부모·장애가정 등 우선지원 (단, 모든 가정 신청 가능)

👩‍👧‍👦 이런 가정이라면 꼭 신청하세요!

  • 퇴근 시간보다 아이 하원 시간이 빠른 워킹맘
  • 갑자기 아픈 아이를 병원에 데려갈 수 없는 가정
  • 조손가정, 장애가정 등 정기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

“돌봄은 공공서비스입니다. 정부가 함께하겠습니다.”


🔗 참고 링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