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술비 걱정 덜자! 2025 난임 지원제도 A to Z

2025. 5. 4. 19:23필독 정보

1. 난임 시술비 지원이란?

정부는 난임 진단을 받은 부부에게 체외수정(시험관) 또는 인공수정 시술에 필요한 비용을
건강보험 적용 + 추가 정부 지원 형태로 최대 21회까지 지원해주고 있어.

“아이를 간절히 원하는 부부에게 경제적 이유로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.”


2. 2025년 적용 대상

혼인여부 무관 – 법적 혼인, 사실혼 부부 모두 가능
여성 연령 기준: 만 45세 이하 (시술 시작일 기준)
소득 기준: 없음 (2022년부터 전면 소득 기준 폐지)
진단 요건: 의사의 난임 진단서 필요


3. 건강보험 적용 시술 항목 및 횟수

시술 종류 여성 연령 건강보험 지원 횟수
인공수정 (IUI) 만 45세 이하 최대 5회
체외수정 (신선배아 IVF) 만 45세 이하 최대 7회
체외수정 (동결배아 IVF) 만 45세 이하 최대 7회
착상보조술 해당시 포함 계산 건강보험 포함 시술 내 포함
 

✅ 시술 1회당 본인부담률: 약 30% 수준
45세 초과 시 건강보험 적용 제외


4. 건강보험 외 정부 추가 지원금 (저소득층 대상)

✅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
→ 본인부담금 일부 또는 전액 지원
→ 건강보험 급여+비급여 항목까지 일부 포함 가능

✅ 지자체 추가 지원 (서울, 부산 등 일부 지역)
→ 병원 직접 청구 혹은 지자체 방문 신청


5. 지원 절차

① 산부인과 or 난임 전문기관 방문 → 의사 진단서 발급
② 건강보험 적용 병원 선택
③ 건강보험 자동 적용
④ 일부 지자체 지원금은 사전 신청 후 지급 방식

✅ 전국 500여 개 지정 난임의료기관에서 사용 가능
✅ 정부24 또는 시·군·구청 복지과에서 개별 지원 신청


6. 시술비 예시 (건강보험 적용 기준)

시술 항목 총 비용(평균) 본인부담
인공수정 1회 약 50만 원 약 15만 원
체외수정(신선) 약 300만 원 약 90만 원
체외수정(동결) 약 250만 원 약 75만 원
 

※ 병원·지역에 따라 비용 차이 존재
※ 추가 약제/검사료는 별도 부담 가능


📌 요약 정리

대상 난임 진단받은 부부 (혼인형태 무관)
연령 여성 만 45세 이하
지원 횟수 총 21회 (인공수정 5 + 체외수정 14)
지원 방식 건강보험 급여 적용 (본인부담 약 30%)
추가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및 지자체별 지원금 가능
신청 병원 접수 + 지자체 사전신청 (해당 시)
 

🍼 이런 경우 바로 신청하세요

  • 난임 진단을 받고 고비용 시술을 앞둔 부부
  • 35세 이상으로 빠른 체외수정 필요성이 있는 경우
  • 사실혼 상태로 혼인신고 전이지만 시술을 진행하려는 부부

“출산율이 낮아진 시대, 당신의 간절함을 정부가 함께 응원합니다.”


🔗 참고 링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