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장기전세주택 공급 완벽 정리

2025. 4. 29. 09:30필독 정보

1. 장기전세주택이란?

장기전세주택은 공공기관(주로 SH공사, LH공사 등)이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급하는 초저가 전세주택입니다.

  • 시세 대비 30~80% 수준 전세금으로
  • 최대 20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제도

"집값 부담 없이 장기 거주, 안정된 삶을 지원합니다."


2. 2025년 장기전세주택 공급 계획

✅ 공급 기관:

  • 서울시 SH공사
  • 경기도 GH공사
  • 한국토지주택공사(LH)

✅ 공급 지역:

  • 서울, 경기, 수도권 주요 지역
  • 일부 광역시까지 확대 예정

✅ 공급 규모:

  • 서울시 SH공사 기준 약 2,800세대 공급 예정
  • (전체 수도권 기준 약 7,000세대 내외 예상)

✅ 주요 신규 단지:

  • 위례, 마곡, 고덕강일, 은평뉴타운, 별내, 하남미사 등

3. 장기전세주택 입주 자격

✅ 기본 요건

  • 무주택 세대 구성원
  •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

✅ 소득 기준 (2025년 예상 기준)

구분 소득 기준
일반 공급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
특별 공급 (신혼부부 등) 월평균 소득 120~130% 이하

✅ 자산 기준

  • 총 자산 3억 6천만 원 이하
  • 자동차 3,557만 원 이하

※ 기준은 변동 가능성 있으므로 공고문 확인 필수


4. 전세금 수준

  • 시세 대비 약 30~80% 수준
  • 예시: 시세 6억 원 아파트 → 장기전세금 약 2억 원 수준

※ 지역과 주택 유형에 따라 다름


5. 신청 방법

✅ 모집공고 확인

  • SH공사, LH공사 홈페이지 게시
  • 서울시청, 경기주택도시공사(GH) 홈페이지 등

✅ 인터넷 청약

  • SH공사 장기전세주택 청약 시스템
  • LH 청약센터

✅ 구비서류 제출

  • 무주택 확인서류
  • 소득 및 자산 증빙서류
  • 주민등록등본 등

✅ 당첨자 발표 후 계약 체결


6. 장기전세주택 주요 특징

✅ 임대료 인상 제한

  • 계약 갱신 시에도 일정 비율 이상 인상 제한

✅ 최장 20년 거주 가능

  • 최초 2년 계약 후 갱신 반복 가능
  • 자격 유지 시 계속 거주 가능

✅ 시세보다 압도적으로 저렴

  • 주택가격 급등기에도 안정적 주거 가능

✅ 전세금 반환 걱정 없음

  • 공공기관이 보증하는 안정성

📌 장기전세주택 요약 한눈에 보기

공급 규모 서울 약 2,800세대 / 수도권 약 7,000세대
전세금 시세의 30~80% 수준
거주 기간 최대 20년 (2년 단위 갱신)
입주 자격 무주택 + 소득/자산 기준 충족
신청 방법 인터넷 청약 및 서류 제출

🚀 장기전세주택,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!

  • 고정된 월세 없이 안정적으로 살고 싶은 무주택자
  • 집값 부담은 줄이되, 내 집처럼 장기 거주를 원하는 사람
  • 청년, 신혼부부, 사회초년생, 은퇴자 모두 가능

🔗 참고 사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