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장기전세주택 공급 완벽 정리
2025. 4. 29. 09:30ㆍ 필독 정보
1. 장기전세주택이란?
장기전세주택은 공공기관(주로 SH공사, LH공사 등)이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급하는 초저가 전세주택입니다.
- 시세 대비 30~80% 수준 전세금으로
- 최대 20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제도
"집값 부담 없이 장기 거주, 안정된 삶을 지원합니다."
2. 2025년 장기전세주택 공급 계획
✅ 공급 기관:
- 서울시 SH공사
- 경기도 GH공사
- 한국토지주택공사(LH)
✅ 공급 지역:
- 서울, 경기, 수도권 주요 지역
- 일부 광역시까지 확대 예정
✅ 공급 규모:
- 서울시 SH공사 기준 약 2,800세대 공급 예정
- (전체 수도권 기준 약 7,000세대 내외 예상)
✅ 주요 신규 단지:
- 위례, 마곡, 고덕강일, 은평뉴타운, 별내, 하남미사 등
3. 장기전세주택 입주 자격
✅ 기본 요건
- 무주택 세대 구성원
-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
✅ 소득 기준 (2025년 예상 기준)
구분 | 소득 기준 |
일반 공급 |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 |
특별 공급 (신혼부부 등) | 월평균 소득 120~130% 이하 |
✅ 자산 기준
- 총 자산 3억 6천만 원 이하
- 자동차 3,557만 원 이하
※ 기준은 변동 가능성 있으므로 공고문 확인 필수
4. 전세금 수준
- 시세 대비 약 30~80% 수준
- 예시: 시세 6억 원 아파트 → 장기전세금 약 2억 원 수준
※ 지역과 주택 유형에 따라 다름
5. 신청 방법
✅ 모집공고 확인
- SH공사, LH공사 홈페이지 게시
- 서울시청, 경기주택도시공사(GH) 홈페이지 등
✅ 인터넷 청약
- SH공사 장기전세주택 청약 시스템
- LH 청약센터
✅ 구비서류 제출
- 무주택 확인서류
- 소득 및 자산 증빙서류
- 주민등록등본 등
✅ 당첨자 발표 후 계약 체결
6. 장기전세주택 주요 특징
✅ 임대료 인상 제한
- 계약 갱신 시에도 일정 비율 이상 인상 제한
✅ 최장 20년 거주 가능
- 최초 2년 계약 후 갱신 반복 가능
- 자격 유지 시 계속 거주 가능
✅ 시세보다 압도적으로 저렴
- 주택가격 급등기에도 안정적 주거 가능
✅ 전세금 반환 걱정 없음
- 공공기관이 보증하는 안정성
📌 장기전세주택 요약 한눈에 보기
공급 규모 | 서울 약 2,800세대 / 수도권 약 7,000세대 |
전세금 | 시세의 30~80% 수준 |
거주 기간 | 최대 20년 (2년 단위 갱신) |
입주 자격 | 무주택 + 소득/자산 기준 충족 |
신청 방법 | 인터넷 청약 및 서류 제출 |
🚀 장기전세주택,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!
- 고정된 월세 없이 안정적으로 살고 싶은 무주택자
- 집값 부담은 줄이되, 내 집처럼 장기 거주를 원하는 사람
- 청년, 신혼부부, 사회초년생, 은퇴자 모두 가능
🔗 참고 사이트
'필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 체크리스트 (37) | 2025.04.29 |
---|---|
2025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완벽 가이드 (8) | 2025.04.29 |
디딤돌대출 vs 보금자리론 비교 정리 (16) | 2025.04.28 |
2025년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완벽 가이드 (3) | 2025.04.28 |
2025년 근로·자녀장려금 완벽 가이드 (5) | 2025.04.28 |